서천군을 비롯한 금강을 인접한 4개 시.군(금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이 추진하고 있는 금강뱃길 조성사업과 관련 환경단체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금강유역환경회의는 20일 성명을 내고 ‘금강 자연성 회복에 역행하는 뱃길 조성사업을 철회하라’고 밝혔다.
보 개방으로 금강이 다시 살아나는 상황에 뱃길 조성으로 오히려 금강을 파괴하는 일을 도모하고 있다는 배경에서다.
20일 금강하구생태복원위원회 김억수 운영위원장(생태문화학교 상임이사, 금강유역환경회의 운영위원)은 “생태복원에 힘써야 할 서천군은 금강의 근본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천군이 금강 권역의 생태.환경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
#화양 하중도까지 1년 330톤 이상 토사 쌓여...‘금강호 수질문제가 급선무’
김 위원장은 “화양 하중도까지 1년에 330톤 이상의 토사가 쌓이고, 하굿둑 바다쪽으로는 1년에 70만톤 이상의 토사가 쌓이고 있다”면서 “수백억 원의 준설비용도 문제지만 금강호 안팎에 토사가 쌓이는 것과 물이 나빠지는 것은 결국 수질문제와 연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강은 현재 녹조문제와 함께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금강호의 수질문제가 서천군의 1순위 현안과제여야 하는 것은 주민들의 먹거리 등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이기 때문이다”면서 “노 군수는 취임한 이후 한 번도 하굿둑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뱃길 조성’...‘철새 쉼터 뺏는 일’
또 “서천군이 유네스코자연유산등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추진하는 뱃길 조성사업은 철새들의 쉼터를 뺏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철새들이 외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금강이 철새들의 쉼터를 제공하고 있는데, 뱃길 조성으로 철새들의 쉴 곳이 사라질 것이라는 배경에서다.
이와 함께 ‘둔치’의 생태적 문제도 지적했다.
금강하구 식물 가운데 ‘갈대’와 ‘모새달’의 경우 육상생물의 잠식으로 보존되지 않고 있다는 것.
“모새달의 경우 법정보호종으로 금강 둔치 쪽으로 잠식되고 있는 가시박 등 육상식물과 외래종으로 교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갈대와 함께 금강의 수질개선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김 위원장의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최근 낙동강의 경우 오는 5월 22일부터 한 달 동안 수문을 개방하고, 효과가 있을 경우 이에 따른 정책들이 만들어 질 것”이라면서 “서천군은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온 금강하구해수유통이 2012년 대선 이후 중단됐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서천군은 시.군 갈등을 넘어 문제인식을 가지고 최우선 선결과제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박래 서천군수가 회장으로 있는 금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는 지난 15일 서천군청 대회의실에서 ‘금강 뱃길 조성사업’ 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용역은 서천 신성리갈대밭에서 부여 구드래공원까지 총 42km 구간에 대한 수심측량을 통해 실질적인 선박운항 코스 및 관리 운영 방안, 주변 지역 경관조성, 사업비 확보 방안 등 사업의 전반적인 타당성과 경제성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서천=이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