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대형산불을 대비해 ‘재난안전대책본부 대응체계’를 강화한다.
신동헌 도 자치안전실장은 31일 오후 1시 30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불의 전국 확산에 따라 도-시군 비상근무 체제 전환 등 산불 방지 및 진화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영남지역 반불 진화 장비 및 구호물품 지원에도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는 것.
실제 재해구호기금 3억 5천만 원을 경북.경남.울산에 적십자를 통해 전달키로 했다.
지난 24일에는 경북도에 임차헬기 1대와 28일에는 경남헤 헬기 3대를 지원했다.

현재 지원 나갔던 헬기는 복귀해 상황에 대비한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 28일 경북에 에어텐트와 음식 등 이재민 구호물품을 전달하고, 도 소방본부는 22일부터 경북.경남에 차량 및 물탱크 등 290여 대의 장비를 지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제74차 실국원장회의에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계속되는 산불로 경북, 경남, 울산 등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드린다.”면서 “산불 예찰활동을 강화해 사전예방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타 지역 산불 난 다음 진화작업 하는 과정 속에서 재산.인명피해 등 상상을 뛰어넘는 피해가 발생했다.”며서 “실무반 운영에 불만 있더라도 (행정부지사가)설득하고 이해를 구해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주문했다.
도는 이를 위해 내달 30일까지 산불 초동진화 대응 및 상황관리 14개 실무반 협업체계를 구축, 운영한다.

또, 홍성.논산.천안.보령.서산에서 임차헬기 5대를 포함한 가용헬기 24대 공조체계 유지를 통해 산불 신속 대응에 나선다.
실제 지난 1월부터 3월 사이 5건의 이상의 산불을 사전 차단하는 성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도내 산불대응장비 가용 현황의 경우 ▲진화헬기 24대 ▲지휘차 25대 ▲진화차량 205대 ▲등짐펌프 9211개 등을 보유하고, 감시.진화 인력으로 ▲예방진화대 986명 ▲감시원 619명 ▲이.통장 5924명을 동원하고 있다.
주민대피시설은 1719곳을 마련했다.
도는 대형 산불 사전예방 등을 위해 지속적인 임도 확장사업 추진과 처벌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인위적 화재가 대부분으로 입산자 통제, 입산자 화기 유무, 마을단위 쓰레기 소각 등 지속적 순찰, 지도와 불법행위 고발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신동헌 실장은 “경북권 산불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하는 과정이 사회복지시설에서 신속하게 대피과정에서 인명피해가 많았다고 생각한다.”면서 “중대본 회의에서 공유된 상황이 신속한 대피의 중요성이 언급된 만큼, 대피와 관련 사회복지 관련 부서와 충남도 안전파트너 사업, 마을단위 재난취약 대상 시스템 등 더욱 보강해 나가겠다.”고 밝혔따.
그러면서 “4월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다. 도.시군 모든 역량 모아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하고, 대형산불에 대한 위험성 갖고 각자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봄철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찰우 기자